크라우드펀딩 서비스 기획
2019.12 -
개인 프로젝트
Overview

Goal
새로운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런칭 기획
-
A사(이커머스)의 ecosystem을 활용
-
기존 후원자와 펀딩 개설자의 pain point 발견
-
서비스 런칭을 위한 전략과 우선순위 설정
My Role
트렌드 분석, WOM 분석, 유저 리서치, 인사이트 도출, 프로토타이핑
Process

1. 트렌드 분석 (경쟁사 분석/벤치마킹)
크라우드 펀딩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, 2019년 보상형 크라우드펀딩의 '사기' 논란이 일었음
가설: 플랫폼과 펀딩 개설자, 펀딩 후원자 간의 신뢰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.
AS-IS
-
펀딩 개설자: 기존 플랫폼의 신뢰도 하락으로 후원 감소, 마케팅 및 유통 과정에서의 어려움
-
펀딩 후원자: 크라우드펀딩 신뢰도 하락, 펀딩 사기, 리워드 퀄리티에 대한 불안감
TO-BE
-
펀딩 개설자: A사 인력의 지원(마케팅, 풀필먼트 등)을 통해 신뢰도 증진 및 마케팅, 유통 등의 허들 감소
-
펀딩 후원자: 문제 발생 시 보상 서비스, 얼리버드 신청 시 30일 이내 리워드 지급
[크라우드펀딩 비즈니스 모델]

2. 유저 리서치
-
펀딩 개설자 및 후원자 대상 인터뷰 진행
-
유저 플로우 구성
-
단계 별 사용자의 태스크 나열
-
사용자가 느끼는 니즈 도출
-
펀딩 후원자 유저플로우

펀딩 개설자 유저플로우

-
퍼소나 구성
-
사용자의 행동 패턴 파악
-
목표, 기존 플랫폼 불만사항을 기반으로 기능 도출
-

* 실제 인터뷰 기반 퍼소나 구성
3. 이슈 기반 프로토타이핑

4. 플랫폼 전략 도출
1) 스타트업 발굴 전략 수립
-
펀딩 개설자 발굴
-
성장을 위한 투자 지원: 분기 별 ‘펀딩위너(펀딩 상위 개설자)’와 벤처캐피탈 멘토링 연결
-
lock-in 시스템: 타사 대비 저렴한 수수료, A사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, 상위 펀딩 도달 시 A사와의 파트너 체결
-
-
체계적인 심사 시스템 도입
-
전문 마케터, 각 기술 전문가(QA, QC),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영입
-
기술력, 상품성, 사회적 가치, 사전평가단 점수 등의 기준에 따른 평가
-
2) 오픈 전략 수립
-
프로모션 진행
-
프리리뷰어 ‘unbox-er’ 모집: 리워드 선수령 후 리뷰 작성, 펀딩 개설자에게 제품 개선의 기회 제공
-
A사 유저 대상 홍보: 초기 플랫폼 홍보 및 A사 배너를 통해 펀딩 제품 링크 제공
-
30일 이내 리워드 지급: A사 멤버십 대상자, 얼리버드 후원자 한정 선지급
-
-
펀딩 개설자와 후원자 간 피드백 시스템 형성: 베스트 피드 라운지, 리뷰어 팔로어 시스템
-
보상 시스템: 허위 펀딩 등 문제 발생 시 펀딩액 전액 반환 조치
3) 위험 요소
-
플랫폼 초기 신뢰성 문제: A사가 지닌 유저 풀, 브랜드 아이덴티티, ecosystem 적극 활용, 시장 및 경쟁사 분석, 사용자 조사 등을 통해 해결 가능
Next Research
-
프로토타이핑 테스트 후 개선
-
GUI 제작